- 게임이나 3D 월드에서 동영상 촬영하는 것이 3D 모델링, 컬러밸런스, 애니메이션 완성도 등 여러모로 훨씬 좋아보인다.이미 해외에는 머니시마페스티벌같은 활성화 된 비디오게임과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영화를 만드는 장르적 파괴가 꾸준히 일어나고 있고, 그 완성도 또한 높은 수준 - 머니시마 페스티벌 최우수 영화상 수상작 “빌과 존의 모험: 위험은 새벽에 찾아온다” (PC 기반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 ‘락 온: 모던 에어 컴뱃’을 이용하여 촬영)
- 최우수 감독상 수상작 "후회의 말로(Edge of Remorse)” (WoW로 촬영)
- 국내의 3D월드 '퍼피레드'의 짧막한 플레이 동영상
- Zeb같은 UCC 저작툴을 만들 생각이었다면 유저가 만든 3D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3D전문가가 아니어도 정해진 모델링에 맵핑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면 한층 재미있었을 것이다.
- "우리는 커뮤니티와 지식을 세계와 연결하자는 것이고, 구글은 검색을 도와주는 회사" 라고 했는데 플리커의 현지화 이외에 로컬라이제이션을 위한 커뮤니티 전략이 있는지 궁금하다.
- 오버츄어 리소스를 활용한 애드센스류의 블로그 광고 프로그램은 기술적으로나 보유 광고주 측면에서나 야후코리아의 선전이 기대된다. 김진수 전무는 "현재는 동영상 쪽보다는 블로거가 UCC로서 더 가치있다고 본다. 모든게 포털로 집중되기 보다는 블로거들과 함께가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려 하고, 노출과 편리함에 대한 블로거들의 열망에 충실할 것"이란 말을 통해 애드센스와 같은 새로운 블로그 수익모델의 출연을 확인해 주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