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의 증식 속도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훨씬 빠르다고 합니다.
뉴질랜드의 Breast Cancer Foundation에서는 유방암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흥미로운 IMC캠페인을 벌였는데요. 먼저 아래와 같은 CM을 집행하여 커다란 암세포 덩어리를 눈에 익게 만든 뒤....
CM에 나온 거대 암세포 덩이를 도시 곳곳에 배치
그것도 오가는 사람들에게 방해가 되도록 놓았습니다.
행인들은 CM을 통해 눈에 익은 암세포를 보며 CM이 전달했던 메시지를 다시 상기할 수 있겠구요.
CM을 접하지 못한 경우 정체불명의 거대 물체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는 과정에서 메시지도 함께 인지할 수 있었겠죠.
CM만으론 그다지 특별할 것 없었던 공익캠페인이었을터
작은 아이디어가 메시지에 큰 힘을 더하는 사례였습니다.
에지(Edge)있는 아이디어를 만나시려면 '타인의 취향'을 구독하세요.(한RSS/ 이메일/ RSS리더)
얼마 전 포스팅했던 나이키플러스의 Men vs Women Challenge 캠페인, 나이키 플러스를 통해 성대결을 벌이는 도발적인 소재의 캠페인으로 이번에는 트래쉬 토크까지 장려하게 시작했다.(참고 : 나이키의 도발적인 캠페인 : Men vs Women Challenge)
트래쉬토크(Trash Talk)란...
스포츠 경기 시 선수들 간에 서로 기를 죽이거나, 멘탈을 흔들기 위해 주고받는 험담들...뭐 욕이다.
지난 독일 월드컵 결승 프랑스가 10명이 뛰도록 만든 지단의 박치기도 마테라치의 트래쉬토크에 말려들었기 때문으로...승부를 가르는 스포츠에선 몸을 쓰지 않는 견제기술이랄까, 필요악되겠다.
나이키 플러스는 그런 트래쉬토크를 나이키 플러스로 얼마나 많이 뛰고있는지(?) 대결 중인 남자, 여자 양쪽에게 장려하는 배너를 제작한 것이다....^^;
먼저 전 포스팅을 접하지 못한 분들을 위해 Men vs Women Challenge 캠페인 CM을 보면...
그런데 CM으론 부족했던지 배너 하나는 여성유저의 방문이 많은 사이트에 하나는 남성유저의 방문이 많은 사이트에 걸어 실시간으로 트래쉬토크가 노출되도록 구현하였다.
캠페인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툴로써는 정말 기발한 아이디어이나 로그인 기반이 아니기에 몇몇 찌질한 인간들의 진상짓이 걱정된다..(물론 금칙어 등을 통해 심한 대화는 오가지 못하도록 만들었을듯)
아무튼 런칭 시의 신선함을 잃은 나이키플러스가 성대결이란 흥미진진한 소재를 통해 대중적인 접근을 시도한 Men vs Women Challenge 캠페인,,
CM, 사이트, 배너, 위젯 등 커뮤니케이션 툴과 크리에이티브 퀄리티는 나무랄데 없으나
나이키 플러스 소비자 성비 분석이 부족했는지...캠페인의 떠들썩함에 비해 실제 대결은 너무 재미없는 양상으로 끝나버렸다. (초반부터 남자가 주욱 앞서다가 그 차이가 더 벌어지며 남자의 압도적 승리...ㅡㅡ;)
쳇, 여자가 이기길 바랬는데,.,
기필코 이겨서 얻는게 뭐가 있다고 말야...
사람들을 몰입시키기 위해선 리얼리티가 굉장히 중요한데... 만약 실제 승부가 박빙이었다면 보도기사 증대, 구매 촉진, 후속 캠페인 전개 등 훨씬 많은 것을 얻어낼 수 있었으련만...아쉽도다...
ISN'T IT TIME SOMEONE CALLED CUT !
사랑스러운 나의 요정 키이라 나이틀리를....부들부들....
위 CM은 women's aid가 집행한 가정폭력 근절을 위한 기금 마련을 위해 제작한 것으로
보는이들을 한없이 불편하게 만들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전형적인 충격과 공포(Shock and Awe) 방식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되겠다.
이 경우 메시지 전달력 하나는 제대로지만.. 전달자가 원하는 액션을 하기보다는 영상 자체에 몰입되는 경우, 혹은 거북함을 느껴 메시지마저 회피하게 되는 경우가 생긴다.
실제로 키이라 나이틀리의 팬인 내가 영상을 본 후 든 생각은 저 놈을 찾아내 자근자근 밟아줘야겠다. 였고 저 단체에 기부한다고 뭔가 해결될 것 같다는 기대감이 전혀 없었다. Women's aid가 저런 일이 없도록 어떤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지 날 설득해줬으면 한다...흑~
프로야구 개막 기념으로 타격에 비유해보면...
대차게 휘두르는 것 보다는 적절한 힘과 히팅 포인트가 중요하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