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흥행을 트위터가 좌우한다? ‘트위터 효과’가 뭐길래? 라는 포스팅을 읽고 오랜만에 생각을 정리해볼까 하여 자판을 두드린다.
엔터테인먼트 산업, 특히 방송, 영상, 영화 등 거대한 자본이 흐르는 방송 컨텐츠 산업에서는
짠~! 하고 선보인 작품이 어떻게 소문이 나느냐에 따라 수억~수백억을 들여 만든 작품의 흥망이 결정되곤 한다. 그러기에 관련 종사자들은 어떻게든 좋은 평가를 받기위해 목을 매게 되고,
대표적으로 시청률과 사전홍보에 목을 맨다.
본방을 사수하던 시대는 갔다.
최근 선덕여왕 시청률이 50%에 육박한다는 기사들을 많이 접할 수 있었는데. 시청률이라 하는 개념은
특정 시간대에 TV를 통해 방송을 시청한 사람들을 표본조사한 비율이다.
표본조사에 대한 신뢰성은 일단 제쳐두고, 방송을 소비하는 채널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면...
과연
젊은층 시청자들이 여전히 본방을 사수하고 있는가?
인터넷 다운로드, 케이블, IPTV(해외는
Hulu.com과 같이 저작권이 해결된 HD급 VOD를 볼 수 있거나 Tivo와 같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로 원하는 방송만 소비하는 경우도 많다) 등 합법 불법을 떠나
압도적으로 많아진 채널, 그리고 점차 방송국이 편성한 시간이 아닌
자신이 편안히 볼 수 있는 시간대에 맞춰 방송을 소비하는 행태가 늘어났고, 앞으론 더욱 심화될 것이다.
즉, 생산자 입장에서 얼마나 보고있나? 를 따져보는 것은 점차 불가능해진다는 이야기다.
일일드라마, 사극 등 여전히 본방을 즐기는 어르신들이 좋아하는 방송이
시청률 상위에 랭크되는 것이 과연 재미있기 때문만일까?
미드, 일드가 유행한 것은 케이블 방송의 힘이었는가?
케이블은 이미 어둠의 경로를 통해 충분한 검증을 거친 방송들을 정식 경로로 선보였을 뿐.
과거 미드열풍을 포문을 열었던 '프랜즈(Friends)'는 수도없이 많은 CD로 구워져 어둠의 경로로 유통되었고, 오늘날의 수많은 미드, 일드 역시 P2P, 웹하드 등을 통해 빠르게 퍼져가고 있다.
이는 결코 권장할 현상은 아니지만
시청자들이 과거의 일방적인 수용이 아닌 컨텐츠를 적극적으로 찾아 소비하고 있다는데 큰 의미가 있겠다. 다시말해 재미있다고 소문난건 어떻게서든 찾아 본다는 것이다.
처음에 언급했던 포스팅을 보면 트위터가 최근 영화흥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한다.
이미 블로그, 커뮤니티 등 가공되지 않은 솔직한 정보들이 인터넷상에서 흐르며 흥행에 영향을 미치고, 알바들을 통한 조작으로 그 정보를 흐리는 현상들이 많은 화제가 되어왔는데...
트위터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왜 호들갑인가....?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잡담스러운 대화를 실시간으로 나누는, 그리고 언제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한 모빌리티한 소셜미디어로 옮겨지며 더욱 재미있는 양상을 보일 것 같아서이다.
대중적인 평가와 지인들의 평가를 함께 참고할 수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은 동일한 플랫폼을 충분히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소위 '대세 서비스'이다.
즉, 서비스에 올라오는 정보들만 잘 집계해도 어떤 곳보다 큰 표본을 바탕으로 대세를 알 수 있다는 이야기다. 게다가 트위터와 페이스북은 지인간의 네트워크도 지원하는 SNS다. 대중의 의견뿐만 아니라 내가 Following하고 있는 사람들의 의견도 함께 참고할 수 있다.
즉 영화는 아무리 알바를 풀어놓아도 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점은 아직 영화를 본 사람이 많지 않은 개봉 당시정도일까...집단지성(이 단어 잘못쓰면 위험한데..)을 통해 정상값으로 수렴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며...이는 지인들의 냉정한 평가도 함께 참고하며 구매의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만약 내 예측이 맞는다면...
Hulu.com과 같은(Youtube도 제휴를 통해 유사한 방식의 방송영상을 확보해 나갈 것) 바로 시청이 가능한
스트리밍 방식의 인터넷 VOD 서비스가 보다 많은 사랑을 받을 것이며 Tivo와 같은
디지털레코더를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시청할 수 있는 방식도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항상 그렇듯 문제는 저작권인데. Hulu.com을 통해 성공적인 케이스 스터디를 할 수 있었던 대형 제작/유통사들을 중심으로 점차 빗장을 풀듯...
또 트위터 별점, 페이스북 별점과 같은
소셜미디어의 평가점수가 등장하고, 이들이
컨텐츠 선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SNS에서 바로 인기영화를 예매하는 수익모델도 생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나의 관심사인 마케팅은...
점점 더
스토리를 바탕으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마케팅이 중요해질 것이다.
아주 단순하게 예를들어 보면 '블레어위치 프로젝트(
The Blair Witch Project)'와 같은 케이스가 트위터에서 실시간으로 그리고 모빌리티하게 이루어지는 방식을 생각해볼 수 있다.
(참고로 블로어위치 프로젝트는 실존하지 않는 마녀 전설을 만들어 웹에서 퍼뜨렸고, 그 전설을 다큐로 만들던 3명이 실종되었고 그들이 찍은 필름이 발견되었다는 흥미로운 스토리를 만들어 개봉 전 이미 다수의 매니아의 관심을 확보, 엄청난 대박을 만들었다)
마녀전설을 취재하는 다큐팀의 트위터를 방문하면 그들이 파해치려는 스토리와 차례로
발견하는 단서사진과 영상들 아이폰으로 찍어 트위터에 올려놓았고 늦은 밤 숲속에서
겁에 질린 듯한 말투로 Follower들과 소통도 한다. 그리고 결정적인 단서...
마지막 구조신호... |
뭐 이런식이 되겠다.ㅋ
예전 귀여니의 온라인소설을 영화로 만들었던
늑대의 유혹도 소설 팬카페 운영자들에게 극중 주인공들의 이름으로 운영하는 블로그 운영을 맡겨 개봉 전 좋은 반응이 있었던 걸로 기억하는데...강동원이 분한 역할답게 고등학생의 말투와 방식, 그리고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느낌을 잘 전달해줄 수 있다면 가상인줄 알면서도 빠져들지 않겠는가? ㅋㅋ
늦은 밤 겁에질려 눈물이 맺힌 주인공의 셀카가 트위터에 올라온다면...
정리하면...
앞으로의 영상 미디어 소비행태는 수요자들은 점점 더
자신에게 맞는 재미를 찾으려 할 것이고,
자신에게 편한 시간에 소비하려 할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는 그들이 즐겨쓰는
소셜미디어, 특히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서비스들(국내는 미투데이가 될 가능성이 더 커보인다)이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아주 재미있는 변화가 일어나리라 기대한다.
물론 소셜미디어로 인해 큰 변화를 맞이할 분야가 몇 개 더 있어보이는데...
앞으로 기회가 될때마다 또 글을 남기겠다. 긴 글 읽어주시어 감사드린다. ^^
View On↓을 눌러 '추천'해주시면 더 많은 분들이 이 글을 볼 수 있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지당하신 말씀입니다.
2010.06.05 01:18위 내용대로만 하면 마케팅효과 대박일듯.
라이블리님 반갑습니다.
2010.06.05 13:24 신고포스퀘어는 지금 시점에 관심을 집중시키기 가장 좋은 도구일뿐 정말 중요한 것은 매력적인 스토리라인을 메이킹하는 것이겠죠. 댓글 감사합니다.
관련업종 종사자?로서 재미난 아이템이네요^^
2010.06.05 01:54문제는 포스퀘어가 한국에 '올' 사람들에게는 재미난 아이템이 되겠지만
한국은 시카고와는 상황이 많이 달라서 한국을 모르는 사람을 끌어오는게 더 큰 문제라 그것까지 해결하기엔 역부족일 것 같다는 생각도 살짝 드네요
뭐 좋은 아이디어 없을까요 ㅎ
래빗님 반갑습니다.
2010.06.05 14:58 신고제 글의 의도는 최근 가장 Hot한 아이템인 포스퀘어를 잘 활용할경우 동일한 관광소재를 가지고도 훨씬 많은 미디어컨택과 관심을 집중시켜 한국에 대한 흥미와 새로운 인상을 심어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바이럴하기에도 훌륭한 소재죠)
오히려 한국에 '올' 사람들에게 어필하기 위해선 위 댓글에서도 이야기했듯. 포스퀘어에 잘 어울리는 매력적인 스토리라인이 결합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뻔할 수 있는 소재를 새로운 방식(온라인 바이럴, 활영기법 등)으로 풀어내며 대박을 만든 블레어윗치 프로젝트, 클로버필드와 같은 영화를 떠올리시면 쉽겠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앗 어택하려던건아닌데..^^; ㅎㅎ
2010.06.05 21:56덕분에 본질적인고민+좋은팁 얻어갑니다
오늘밤엔 클로버필드나 찾아봐야겠어요 ㅎㅎ
윽~ 저도 어택에 반박하듯 쓴 것은 아니옵니다. ^^;
2010.06.05 23:17 신고외출 전 급하게 쓰느라 그랬는지 논조가 딱딱했네요 ㅋ
조금이라도 업무하시는데 도움이 될 수 있었다면 정말 기쁘겠습니다. 좋은 주말 되세요~
안녕하세요. 늘 눈팅만 하다가 처음으로 글을 남깁니다. 포스퀘어를 활용한 관광 마케팅이라.. 상당히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한국 하면 떠오르는 기억의 고리를 만들어 주는 것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흠.. 우리나라에 매력있는 컨텐츠라.. 한번 고민 해 보는 것도 재미있겠습니다!
2010.06.16 13:24큐님 댓글로 말씀나누니 반갑습니다.
2010.06.17 04:00 신고종종 들러서 편하게 생각 남겨주세요. ^^
오랫만입니다~~ 블로그 신경을 써야 하는데 ~!! ㅜㅜ 쉽지가 않네요~!!
2010.06.21 08:45관광마케팅에 대해 새롭게 생각해볼 만한 꺼리를 주셔서 감사~
써엉님 안녕하세요?
2010.06.23 14:39 신고저도 요즘 점점 게을러지고 있어 큰일입니다. ^^
관광마케팅도 파면 팔 수록 재미있는 분야라서 직접적이진 않더라도 관련일을 해보고 싶네요.
오오 전 이런걸 처음알았는데 벌써부터 관광마케팅에 쓰시다니요 대단하십니다!@
2010.06.30 20:51뇽이얌님 반갑습니다.
2010.07.01 20:36 신고아직 저도 아이데이션 단계인걸요 ^^
어서 실제로 써먹어보고 싶군요.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