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가장 눈길을 끌었던 TV광고를 꼽으라면 아래의 헛개차 광고다. 술을 떡이 되도록 마신다는 비유적 표현을 실제 비쥬얼로 만든 기발함과 '이것 저것 따지지 말고, 보험처럼 마셔라'라며 자신의 보험광고를 셀프패러디한 이순재옹의 나래이션이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근데 이 광고 좋다는 많은 사람들이 '헛개차' 또는 '헛개수'인건 기억 하는데... 어느 회사 것인지. 패키지가 어떻게 생겼는지 물어보면 실제 마셔본 사람이 아닌경우 거의 기억해내지 못했다. 광고 중반까지 시루떡의 인상이 강렬하게 존재하다가 마지막엔 패키지가 변화한걸 보여주기 위해 회오리 치고, 나중에는 사람들이 마시는 장면을 보여준다. 이런 다양한 장치들이 결국 구매 시 눈이 가는 패키지와 브랜드에 대한 인상을 남기는데 방해를 한 것 이다.
기존의 촌스런 패키지를 버리고 '男' 글씨가 밖힌 강렬한 겉모습으로 리뉴얼했는데... 좀 더 잘 보여줄 필요가 있었다. (일본의 오토코마에 두부 패키지와 매우 흡사) 광동 헛개차 광고를 보고 편의점 냉장고에서 CJ헛개수를 꺼내는 일은 없도록 만들었어야 하는데 그 점이 아쉬운 것.
페북에 '병신같지만 멋있어'라는 평과 함께 올라온 '맛있는 양갱'의 지하철 광고이다. 양갱의 '팥'을 아이팟에 비유한 방식은 위와 유사한데 패키지까지 '아이팥' 답게 생겨 모든 스포트라이트가 제품에 가고있다. (디테일에 숨은 재미까지 있다면 더 좋을텐데 광고만으론 알 수 없다)
모두 장난스럽긴 하지만 저관여 상품이기에 이런 위트있는 광고, 그리고 패키지/네이밍/판매/유통 전략을 통해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크리에이티브 전략이 좋다면 광고만을 보지말고 브랜드 전체를 세심히 관리한다면 기대이상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내일 출근을 위해 일찍자려 했건만....
아이폰 런칭 광고 때문에~ 짧은 포스팅 하나 해야겠네요.
요즘 가장 시끌시끌한 이슈는 역시나 아이폰인데요. 시장 진출로 인한 파급효과, 시장예측, 칭송과 비난, 6만대 이상의 예약, KT의 배송지연에 대한 지탄의 목소리까지 다양한 이야기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오직 저의 관심은 그들이 가진 포텐셜을 얼마나 극대화 하는지....즉 그들의 마케팅 전략인데요. 요며칠간 심심찮게 볼 수 있었던 아이폰 광고는 아래 2편.
아이폰 3GS의 장점인 동영상과 Copy&Paste 기능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해당 영상은 아이폰 런칭 후 몇년간 충분히 학습되고, 다른 스마트폰들과의 비교가 가능한 글로벌 소비자를 대상으로 올해 3Gs를 런칭하며 틀었던 것으로 대다수가 명성만으로 혹은 글로써만 아이폰을 접해왔던 국내 소비자들에겐 정말 생뚱맞은 내용입니다.
진정 아이폰이 놀라운 이유가 복사와 붙여넣기가 되기 때문일까요?
동영상 촬영 및 편집이 쉽기 때문일까요?
기존의 영상을 그대로 쓸 생각이었다면 그래도 아이팟 터치에 대한 이해도는 어느정도 있다고 보고 아이폰 런칭 시 사용한 CM을 사용하는게 낫지 않았을까요?
제가 알기론 이번 런칭광고의 결정권은 애플에 있었던 것으로 아는데...
애플이 옴니아2를 비롯한 다른 스마트폰을 지나치게 의식한 것이 아닐지...
소비자에 대한 이해보다는 경쟁시장에서의 포지션에 얽매인 결과가 이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얼핏들은 풍문으로는 1~2개월 후부터는 아이폰을 소재로 애플이 아닌 KT가 만드는 광고도 볼 수 있을 것 같은데요. 광고, 제휴 등 마케팅은 그 때부터 진정한 승부가 다시 시작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ISN'T IT TIME SOMEONE CALLED CUT !
사랑스러운 나의 요정 키이라 나이틀리를....부들부들....
위 CM은 women's aid가 집행한 가정폭력 근절을 위한 기금 마련을 위해 제작한 것으로
보는이들을 한없이 불편하게 만들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전형적인 충격과 공포(Shock and Awe) 방식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되겠다.
이 경우 메시지 전달력 하나는 제대로지만.. 전달자가 원하는 액션을 하기보다는 영상 자체에 몰입되는 경우, 혹은 거북함을 느껴 메시지마저 회피하게 되는 경우가 생긴다.
실제로 키이라 나이틀리의 팬인 내가 영상을 본 후 든 생각은 저 놈을 찾아내 자근자근 밟아줘야겠다. 였고 저 단체에 기부한다고 뭔가 해결될 것 같다는 기대감이 전혀 없었다. Women's aid가 저런 일이 없도록 어떤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지 날 설득해줬으면 한다...흑~
프로야구 개막 기념으로 타격에 비유해보면...
대차게 휘두르는 것 보다는 적절한 힘과 히팅 포인트가 중요하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