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3D영화가 시작하기 전 실감나는 영상과 함께 특정 자리에 앉은 관객에게 음료수를 선물하는 사례를 소개했었다. (via. 3D 영화관에서 찾은 새로운 마케팅의 가능성)
그런데 3D 이런거 별로 필요없겠다. ㅋㅋ
몇십원 정도하는 콜라컵 하나씩만 더 있으면 되는거다.
판매원이 영상의 인물과 동일해야 하므로 극장 한 곳에서만 진행할 수 밖에 없었겠지만
유쾌한 경험을 통해 강렬한 메시지는 각인되고, 즐거운 사건은 빠르게 바이럴된다.
코카콜라는 극장 안의 사람들과 그들의 주변 사람들에게 그리고 저들의 반응을 보고있는 우리들에게까지 코카콜라 제로가 오리지널과 거의 동일한 맛이라는 사실을 제대로 알려줬다.
멋진 경험을 디자인함으로써 소규모 프로모션으로 강렬한 효과를 거둘 수 있었던 것.
어릴적 책받침이나 스티커 등에 사용되던 보는 각도에 따라 보이는 그림이 달라지는 입체(?) 그림을 광고 빌보드에 적용한 발상이 돋보인다. 월드컵의 공식 스폰서로써 축구를 즐기는 즐거움과 코카콜라의 즐거움을 일체시키고 싶어한 그들은 저렴하면서도 새로운 체험을 전달할 수 있는 방식으로 파도타기를 절묘하게 재현했다.
휴대폰으로 열심히 영상을 찍는 사람들을 보면 저 빌보드 광고가 얼마나 많은 바이럴이 일어났을지 예측할 수 있다. 유쾌한 경험은 핫이슈가 된다.
물론 아쉬운 것은 파도타기가 너무 무난했다. 저 중간에 위트있는 동작을 숨겨놓거나 코카콜라를 떠올릴 수 있는 메시지를 남겨야 했다. 디테일이 아쉽~
코카콜라 자판기 안에서 펼쳐지는 환타지월드를 애니메이션으로 보여줬던 the happiness factory 시리즈 광고를 기억할 것이다. Coca-Cola는 일련의 광고와 더불어 리얼월드에도 The Happiness machine을 한 대학의 매점에 설치했고 자판기에서 쏟아져나오는 다양한 먹거리 선물을 통해 코카콜라의 상징인 붉은 자판기를 통해 Happiness란 메시지를 전파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